분류 전체보기
-
중심 잘 잡아라.무속 이야기 2017. 8. 8. 09:25
무속에서 흔히 선배 무당님들이 하시는 말씀이 있습니다. 얘야 중심 잘 잡아라.바로 이런 말씀을 옛선배 무당님들은 자주 하셨다고 합니다. 과연 이것을 무엇을 뜻하는 것일까요? 막연하게 생각만 하던것을 어제 좀더 구체적으로 배울수 있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중심이라고 하면 대부분 자신의 신체 내부의 중심을 생각하고 이야기를 합니다. 하지만 무속은 보이지 않는 기(氣)를 다루는 것이기도 합니다. 그렇기에 이러한 것을 신체 외부와 신체 내부와의 조화를 이야기를 하기에 이것은 신체 외부에 있습니다. 우리고 공부를 하는 것은 사고의 평형을 이루기 위함 입니다. 바로 사진의 저울처럼요. 무속 또한 마찬가지 입니다. 너무 보이지 않는 허령의 공간에 의미를 두면 그것이 바로 귀신의 놀음에 놀아나는 꼴이 됩니다. 그러다고 ..
-
귀신(鬼神)무속 이야기 2017. 8. 2. 09:27
어찌보면 귀신(鬼神)은 사람의 마음이 내는 하나의 소리일수도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소리가 비정상적일 뿐입니다. 귀신이 존재한다 안한다는 참 말도 많지만 중요하지 않다고 여깁니다. 한 사람의 마음이 외부로 투사가 되어 정신의 작용으로 귀신을 만들어 내면 그것또한 귀신 입니다. 아마 이것은 그 사람에게만 보여질테죠... 하지만 귀신이 존재한다 안한보다 이러한 귀신을 되돌려야 합니다. 마음으로부터 나간것이니 다시 마음으로 되돌려야지요. 이러한 것을 진혼(鎭魂)이라고 하여 혼을 진정시킨다라는 뜻이 됩니다. 이것에 시작은 먼저 나의 마음과 정신을 고요하게 만드는 것입니다. 신당에 향을 피우고 쑥을 태우는등 부정을 막기위하여 하는 많은 행법들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것을 부정을 씻기 위한 방편일 뿐입니다. 하지만 ..
-
리추얼은 단순하다.무속 이야기 2017. 8. 1. 10:07
굿에는 많은 행법들이 존재합니다. 원래부터 이렇게 많았는지 아니면 전승이 되어오면서 추가가 된거지는 알수가 없습니다. 하지만 원시시대에는 이것보다 더 간결하고 심플했을 것입니다. 모든 리추얼은 다음 3단계를 벗어나지 않습니다. 1. 정화 2. 권청 3. 공양 이러한 절차를 마친후 기원을 올리든 소원사를 올리든 하는 것입니다. 모든것은 맨 처음 시작된 곳에서 기본적인 구성이 전승이 되고 실천법들은 늘 바뀌면서 전승이 됩니다. 무속의 굿 행법도 기본적인 구성은 비슷하지만 그 안에서의 디테일은 아마도 다 다를 것이라 여기는 것이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이기도 한 것입니다. 하지만 모든것은 간단하고 심플하게 하는 것이 더 나은 결과를 가지고 옵니다. 리추얼을 복잡하게 한다라는 것 자체가 이미 이것을 따라야 한다라..
-
령(靈)이란 무엇인가.무속 이야기 2017. 7. 31. 10:53
령이란 말은 어떠한 존재존적 실체가 아닙니다. 그렇기에 보여주고 짚어주신 것이 조상이고, 할아버지 이고, 태아이고, 부처님이고, 예수님을 보여주였다고 하더라도 그것이 존재하는 실체가 아님을 알아야 합니다. 그래야지만 망상에 사로 잡히지 않을 수가 있습니다. 바로 이러한 것으로 인해서 사람들에게 많은 혼란을 주는 것입니다.령이란 영묘할 령(靈)입니다. 그렇기에 영묘하게 또는 신비롭게 묘하게 작동을 하는 것을 일컫는 말입니다. 령이란 존재하는 어떠한 실체가 아니며 어떠한 것에 대한 결과론적인 형태를 말하는 것입니다. 점사를 볼때 할아버지, 할머니가 보였다고 해서 돌아가신 할아버지 할머니의 생명자체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어떠한 경로를 통해서 할아버지 할머니가 령으로 보인다라는 것입니다.네 바로 상징으로서 보여..
-
도깨비, 귀신, 신장 꿈...무속 이야기 2017. 7. 28. 09:55
가끔 꿈을 꾸면 할머니가 나오기도 하고, 귀신이 나타나기도 하고, 신장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이러한 꿈을 꾸는 것은 그 당사자의 종교적 신념에 따라 나타나기도 합니다. 가끔 전 전혀 무속적인 것에는 관심이 없는데 이러한 것이 나타난다고 이야기를 합니다. 이렇게 무속적인 것에 관심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나타나는 것은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그중에서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은 바로 "무속" 이라는 것은 대한민국 전통 신앙이기에 우리도 모르게 뿌리깊게 박혀져 있기에 그러한 것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것은 바로 "불안"이라는 것을 매개체를 통해서 발현이 되어지게 됩니다. 가끔 우리는 이유없이 화가 나거나, 이유없이 심장이 뛰거나등의 증상을 겪습니다. 이러한 것을 기분으로는 느끼지만 정확하게 무엇 때문에 힘든..
-
신끼의 작용력무속 이야기 2017. 7. 27. 10:38
인간의 신체는 참 묘합니다. 그렇다보니 그 작용력을 알 수가 없었습니다. 몇몇 성인분들은 이렇나 것을 알고 이러한 것의 작용을 글로써 말로써 설명을 하였습니다. 그렇지만 글로서 말을 다 표현을 못합니다. 사람에게는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이 있습니다. 부교감신경은 사람이 이완을 했을때 발생을 하며 교감신경은 사람이 긴장을 하였을때 발생을 합니다. 이러한 것을 음과 양으로도 어느정도 설명이 가능합니다. 이렇게 과학적인 부분을 먼저 말씀을 드리는 것은 무속에서 "신끼"라고 불리어 지는 것도 이러한 교감신경과 부교감 신경의 작용으로 인해 일어나고 이러한 것은 중추신경계를 타고 올리가 뇌척수 신경계에 영향을 줍니다. 이렇게 영향을 받은 것을 가지고 사람은 이해를 하고 해석을 합니다. 무속도 이러한 해석을 신의 작용..
-
신끼,신명 테스트무속 이야기 2017. 7. 26. 09:48
무속의 점집을 가보면 신명테스트, 신끼테스트등 각종 테스트를 해보자고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물론 이러한 것은 신을 모시고 섬겨야할 대상인지 아닌지를 구분짓은 방법론중 하나 입니다. 이러한 방법에서는 방울과 부채를 쥐어주는 경우도 있고, 신장대를 쥐어주는 경우도 있고, 죽비를 쥐어주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도구를 잡은 후 가만히 있지 못하고 몸이 움직이거나 뛰는 경우가 발생을 합니다. 바로 이러한 경우에는 자신안에 신끼가 있다라는 반증이기도 한 것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반대로 보면 위험한 케이스이기도 한 것입니다. 그 의도는 무당만이 알고 있겠지요. 신끼테스트를 하여 맞추었다고 해서 무조건 무당이 되는 것도 아니고, 방울,부채쥐고 뛰었다고 해서 무당이 되는 것도 아닙니다. 이것은 자신이 남들보다 좀더..
-
신은 알수가 없다.무속 이야기 2017. 7. 25. 10:48
신이라는 개념을 인간이 알수는 있습니다. 그런데 신이라는 형상은 인간이 알 수가 없습니다. 다만 신의 형태를 띈 신령(神靈)이라는 존재로 사람들이 받아들이는 것에 불과 합니다. 이러한 것은 신과 인간의 중간 매개체로서의 신령을 이야기를 하기도 합니다. 그렇기에 무당이 모시는 몸주신,주장신,조상신이라는 개념도 다 신령에 포함이 되는 것인거지 신의 개념은 아닙니다. 다만 신의 대리자 정도로 여기셔야 합니다. 이러한 부분에서 사람마다 모시는 신이 다른 것이기도 합니다. 어떤 무속집을 가니 모시는 신이 창부대신이고 어떤 무속집을 가니 모시는 신이 장군신인 것이 바로 이러한 부분에서 다르기에 모시는 신도 다른 것입니다. 다른것은 사람마다 살아온 인생과 겪어온 삶과 성격과 성향과 가치관과 신념등이 다 다르기에 그러..